[아마도Lab 24' 장마이전: '누아르 어바니즘'] <『누아르 어바니즘: 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출간 기념> 북토크

[AmadoLab 24' Before Monsoon: 'Noir Urbanisms'] "Noir Urbanism: Dystopic Images of Modern City> Booktalk

아마도Lab ‘장마 이전/장마 이후’는 동시대적 사회·문화적 현상 또는 화두에 따른 의제를 중심으로, 참여 주체가 각자의 영역과 맥락을 넘나들며 의견과 가치관을 나눌 수 있는 담론장 촉발을 모색하려는 반기별 프로젝트이다.

[아마도Lab 24' 장마이전: ‘누아르 어바니즘 소개’] 글. 곽노원

최근 아마도예술공간이 위치한 이태원-한남동 일대는 관광객 유입이 증가함과 동시에, 인근 상권에도 활기가 찾아들고 있다. 이를 두고, 팬데믹에 뒤이어 용산 지역을 덮쳤던 사회정치적 요동이 일견 잦아들면서, 지역의 문화-경제 흐름에 자연스러운 회복기가 찾아온 것이라 판단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최근 아마도예술공간 근방에는 ‘다문화의 집산지’로 대표되는 이태원-한남의 지역적 특색과는 무관한, 특정한 양태의 상업만이 우후죽순처럼 자라나고 있다. 예컨대 기업의 쇼룸이나 팝업 스토어, 체인형 음식점과 카페가 케밥집을 비롯한 다국적 음식점, 구제 물품과 빅사이즈 옷 가게, 이색 재료 소매점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전쟁 전후로 한국을 지배했던 외세의 주둔지로부터 출발해, 국내 유입 외국인의 거주지로 확장되며 형성되었던 ‘서울의 이방 지대’ 역시 젠트리피케이션의 정해진 톱니바퀴 속으로 빨려 들어가 균질한 도시-산물로 변모 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서울 내에서 이미 젠트리피케이션의 수혜/폐혜를 입은 다른 지역들의 모습을 반추해 본다면, 아마도예술공간 인근의 위와 같은 변화는 너무도 익숙하고 낡은 미래로 이어지리란 추측을 가능케 한다.

아마도Lab 24' 장마 이전에서는 ‘누아르 어바니즘’이란 의제를 경유해, 아마도예술공간이 위치한 이태원-한남 지역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 전체, 혹은 더 넓게는 동시대의 “특징 없는 도시"들이 꼭 같이 당도할 것만 같은 미래의 모습을 함께 상상해보고자 한다. 특히 각종 문화적 산물에서 반복해서 재현되는 디스토피아적 도시의 모습을 들여다보며 현대 도시에 닥쳐온 징후적 위험을 같이 짚어보고, 나아가 도시 속 우리의 삶을 함께 이야기 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아마도Lab 24‘ 장마 이전은 『누아르 어바니즘: 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공동 역자인 이혜원, 한아임과 공동 기획으로 북토크, 세미나 등 의제 연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누아르 어바니즘’ 기획의 글] / 글. 이혜원

‘누아르 어바니즘’은 현대 도시가 디스토피아적으로 재현되는 다양한 사례를 북토크, 세미나, 워크숍의 형식으로 탐색하는 프로그램이다.

유토피아의 반대되는 용어로서, 그리스어로 ‘나쁜(dys) 장소(topos)’를 가리키는 디스토피아dystopia는 부정적인 암흑의 세계(관)를 지칭한다. 오랫동안 어둡고 절망적인 가상의 미래 사회를 그려냄으로써 현실의 상황을 비판하고자 했던 문학 작품이나 사상에서 등장해 왔다. 최근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의 대중문화에서도 디스토피아를 배경으로 하는 수많은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소비되는데, 많은 경우 이런 디스토피아가 펼쳐지는 무대는 현대적인 도시다. 그것은 마천루로 대변되는 전형적인 첨단 도시의 이미지로, 혹은 실존하는 특정 도시의 이미지 (혹은 그 복합체)로 재현된다. 이처럼 디스토피아적 재현은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세계를 그리지만, 동시에 현실의 장소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본 기획자는 이러한 긴밀한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한아임 작가와 공동으로 기안 프라카시의 『누아르 어바니즘: 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을 번역하였고, 그 연구의 결과로 본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우리는 북토크와 세미나를 통해 디스토피아적으로 재현되는 주요 도시의 사례로 바이마르의 베를린, 일본의 도쿄, 미국의 뉴욕, 로스앤젤레스, 인도의 봄베이, 델리 등을 살펴보았고, 또한 그 도시들의 역사적/사회적 조건들이 디스토피아적으로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누아르 어바니즘: 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출간 기념> 북토크

다양한 사회, 문화 영역 내에서 생산된 디스토피아적 도시 재현물을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 대한 하나의 비평적 해석으로 바라 보는 기안 프라카시Gyan Prakash의 『누아르 어바니즘』 (서울: 범고래출판사, 2024)의 내용을 해당 도서의 역자들과 함께 이야기 하는 북토크 프로그램.

도시가 가진 어떤 특성이/구조가 디스토피아적인 재현을 야기하는 것인가? 어떻게 이러한 도시의 이미지들이 생산되고 유통되어 왔는가? 그리고 그 이미지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전체 프로그램의 포문을 여는 북토크에서는 이러한 질문을 탐구한 앤솔로지인 『누아르 어바니즘』을 최초로 공개하고, 참여자들과 책의 주요 내용을 둘러보며 저자들이 던지는 의제들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다.

- 일시: 2024년 4월 13일(토), 오후 2시부터 3시 반
- 장소: 아마도Lab
- 인원: 17명 참여
- 진행: 이혜원 큐레이터, 한아임 작가 (『누아르 어바니즘: 현대 도시의 디스토피아적 이미지들』 공동 역자)
AmadoLab Before/After Monsoon is a semi-annual project that seeks to create a discourse space where each participating subject can share opinions and values across their respective disciplines and contexts, with a focus on subjects related to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r talking points.

[AmadoLab 24' Before Monsoon: Noir Urbanisms Introduction] by No-One Kwak

Recently, the Itaewon-Hannamdong area, where Amado Art Space is located, has seen an increase in the influx of tourists. At the same time, nearby commercial districts are also becoming livelier. One might conclude that the post-pandemic sociopolitical upheaval that swooped on the Yongsan region has subsided, and that, as a result, a natural recovery period has arrived in the region’s cultural and economic trend. However, recently, only a specific form of commerce, which is unrelated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taewon-Hannam that has been characterized as a “multicultural gathering space,” has been proliferating in the vicinity of Amado Art Space. For example, corporate showrooms, pop-up stores, chain restaurants, and chain cafes have been replacing kebab restaurants, other multinational restaurants, vintage and big-size clothing stores, and exotic material retailers. One could say that the “alien zone of Seoul,” which started out as a garrison for foreign powers that ruled Korea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expanded into a residence for foreigners entering the country, is being sucked into the predetermined gears of gentrification and being transformed into a homogeneous city product. If one is to reflect on other areas that have already benefited or suffered from gentrification, especially within Seoul, the above changes that have been occurring in the area near Amado Art Space enable speculations about a much-too-familiar and outdated future.


Via the subject “Noir Urbanisms,” AmadoLab 24' Before Monsoon aims to imagine what the future might look like–not only in the Itaewon-Hannam region where Amado Art Space is located, but also in the city of Seoul as a whole, where we live. Or, even more broadly, what is likely to arrive in other contemporary “generic cities.” Specifically, the aim is to look into the dystopic appearances of cities that are repeatedly represented in various cultural products. In that process, the symptomatic dangers faced by modern cities will be discussed, and will create the opportunity to talk about our lives within the city. For this purpose, AmadoLab 24' Before Monsoon is conducting a subject-related program, which includes a booktalk and a seminar, in collaboration with Hyewon Lee and Aim Han, who are the co-translators of 『Noir Urbanisms: 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

[‘Noir Urbanisms’ - Curatorial Statement] / by Hyewon Lee

‘Noir Urbanisms’ is a program that explores various cases of dystopic representations of the modern city in the form of a booktalk, a seminar, and a workshop.

As the antonym of utopia, dystopia–which means “bad(dys) place(topos)” in Greek–refers to a negative world(view) of darkness. For a long time, it has appeared in literary works or thoughts that attempted to criticize situations in reality by depicting a dark and hopeless imaginary future society. Recently, a lot of content with dystopic backgrounds has been created and consumed in popular culture, including movies, TV series, and games. In many such cases, the stage on which these dystopias unfold is the modern city. It is represented through the image of a typical high-tech city filled with skyscrapers, or through the image (or a complex thereof) of a specific city that actually exists. In this way, dystopic representations depict a virtual world that does not exist, but at the same time,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laces in reality. In order to examine that close relationship, I have co-translated Noir Urbanisms: 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 by Gyan Prakash with writer Aim Han. As a result of that research, this program has been curated. Through the booktalk and seminar, we examined Berlin in Weimar, Tokyo in Japan, New York and Los Angeles in the United States, Bombay and Delhi in India, etc, as examples of major cities that are represented as dystopias. Also, we examined how the historical/social conditions of those cities were represented in a dystopic way.

Noir Urbanisms: 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 Booktalk

A booktalk program in which Noir Urbanisms (Seoul: ORCABOOKS, 2024) that looks at works of dystopic urban representation i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areas as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world we live in–is discussed by its co-translators.

What characteristics/structures of the city cause dystopic representations? How have such images of the city been produced and circulated? What do those images mean to us? In the booktalk, which opens the overall program, Noir Urbanisms, which is an anthology that explores such questions, was revealed for the first time. Also, major points in the book were explored. The subjects brought up by the book’s contributors were discussed with the participants.

- Date: 2024.4.13(Saturday), 2 pm
- Location: AmadoLab
- Number of Participants: 17
- Hosts: Curator Hyewon Lee, Writer Aim Han (co-translators of Noir Urbanisms: Dystopic Images of the Modern City)